목록분류 전체보기 (141)
Connecting
CI/CD Concept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를 자동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짧은 주기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과거와 다르게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 다양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는 고품질의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를 기대하며, 언제든지 문제점이나 버그, 추가 기능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더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컨셉이 도출되었습니다. CI/CD의 기본개념은 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지속적인 배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및 테스트 단계에서부터 제공 및 배포에 이르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
Docker Node Example Node Express를 활용한 간단한 Dockerfile를 만들어서 Docker 이미지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실은 Nexus를 통해서 Registry 구성이 완료되어 있으며, 관련 설정내용은 다음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Nexus Docker Private Registry주의사항 본 문서는 Mac OS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inux 사용시 sudo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윈도우의 경우 사용 방법이 상의할 수 있습니다. Docker는 가급적 Linux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존 Docker 이미지 정리하기$ docker stop $(docker ps -a -q) $ docker rm $(docker ps -a..
VPN (Virtual Private Network) Virtual Private Network (VPN)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지역에 네트워크를 전용선으로 연결하기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적인 인터넷 네트워크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반적인 인터넷 회선을 암호화하여 개인 전용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VPN의 핵심으로, 기업에서 본사와 지사 사이에 전용선 대신에 비용절감을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VPN은 일반적으로 안전한 네트워크라고 말합니다. VPN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에 통신하는 경우 VPN 서버의 IP로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는 터널간 패킷을 암호화 하기..
Ubuntu Bionic Netplan연구실 서버를 Ubuntu Server 18.04.1 LTS 버전으로 전환이 완료된 상태에서 리버스 프록시 서버에 추가적으로 가상 NIC를 추가하고 IP를 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들어갔더니 다음과 같은 문구를 발견하였다. $ vi /etc/network/interfaces # ifupdown has been replaced by netplan(5) on this system. See # /etc/netplan for current configuration. # To re-enable ifupdown on this system, you can run: # sudo apt install ifupdown기본적으로 설정하던 설정 방법이 deprecat..
2018 VMware vForum 지난 11월 13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8 VMware vForum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VMware는 클라우드 컴퓨팅 및 플랫폼 가상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Dell의 자회사입니다. 1998년에 설립되어 x86 아키텍쳐를 가상화하는 최초의 상업적인 회사가 되었습니다. VMware 제품 VMware는 다양한 가상화 솔루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전세계 글로벌 가상화 리더로 성장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 플랫폼 데이터 센터 가상화 및 클라우드 인프라 네트워킹 및 보안 스토리지 및 가용성 하이퍼 커버지드 인프라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Digital Workspace데스크톱 및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데스크톱 및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관리 개인용 ..
QUIC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GIGA시대가 대중화된 2018년 최근 KT에서 10GIGA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2.5Gbps, 5Gbps, 10Gbps 속도로 제공되는 이 서비스는 KT에서 9월부터 시작했고, SK, LG U+도 서비스를 시행 혹은 준비중에 있습니다. 아직 기가 인터넷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텐데 ISP 업자들은 경쟁적으로 10Gbps 인터넷 서비스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있을까요? 이는 내년 3월에 서비스 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5G 서비스가 주 이유입니다. 5G는 무선으로 단말당 최대 20Gbps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단, 유선은 아직 1Gbps에 불과 하기 때문에 유선 백본망으로 미리 구축하면 5G 백본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MPLS & SD-WAN급격하게 발전하는 인프라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함에 있어서 SD-WAN과 MPLS 사이에서 기술, 성능과 공급업체 등의 여러 장단점에 사이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될 것입니다. 오늘 MPLS와 SD-WAN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디에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지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합니다.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MPLS는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의 약자로 기존의 네트워크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L3)의 헤더만 보고 각 패킷의 포워딩 정책을 실행합니다각 패킷이 라우터에 도착할 때마다 라우터는 패킷을 보낼 다음 지점을 계산해야..
Chapter 02 TCP/IP Packet Transmission - 1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합니다. NIC통신 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IP패킷 및 UDP 프로토콜을 이용한 송/수신 동작을 살펴봅니다. 프로토콜 스택 프로토콜 스택은 역할이 서로 다른 몇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상위계층인 Application Layer(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브라우저, 웹 서버, 메일 서버 등의 프로그램이 해당됩니다. 애플리케이션 하위계층에는 Socket 라이브러리가 있으며 이 안에는 저번시간에 설명한 Resolver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 하위계층에 OS에 내부에 프로토콜 스택이 존재합니다. 프로토콜 스택의 윗부분에 TCP, UDP와 같이 데이터 송 수신을 담당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ANSIBLE 1장Why Asible?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IT 시스템이 늘어나면서 관리자 한명이 관리해야 하는 역할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단적으로, 하나의 서버에 배포환경을 구축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운영 및 업데이트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인 일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면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며, 현재 인프라 환경에 맞지 않을 것입니다.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IT 인프라는 물리 서버와 물리 네트워크로 구성된 일련된 센터를 통해서 운영되었습니다. 관리자는 몇 대 ~ 몇 십대 정도를 관리하는 정도로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를 조치하는 등의 단순하고 반복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했습니다. 각 서버별로 정해진 시스템 구성에 따라 운영되기 때문에 실제 설치한 서버의 시스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
Network Chapter 1 브라우저의 동작을 처음부터 끝까지 추적하여 동작과정을 서술합니다. URL의 규칙에 따라 URL의 의미를 조사하고, request message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봅니다. 전송된 메시지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측 까지 전달하는 과정을 살펴봅니다. HTTP Request Message 사용자가 URL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웹 브라우저는 URL을 해독하는 곳부터 동작이 시작됩니다. URL의 앞 부분의 Protocol은 액세스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Protocol의 종류에 따라 뒤에 사용되는 방법이 정해집니다. URL 해독이 완료되면 어디에 엑세스해야 하는지 판명됩니다.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