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도커 (17)
Connecting
2020년 애플리케이션을 디플로이할 때 Docker를 활용하는 일은 당연한 일이 되어가고 있다. 본문에서는 Docker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다루는 것이 아닌 Docker를 활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는 시간을 가진다. Docker에 대한 기본 지식은 필자 블로그에 설명했기 때문에 Docker가 무엇인지, 활용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잘 모른다면 글을 읽어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환경 Docker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윈도우보다는 Linux, MacOS에서 매끄럽게 동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윈도우도 예전보다 좋아지긴 MacOS 카탈리나에서 실습을 진행했음을 밝힌다. Docker 데이터베이스 SQL PostgreSQL, MySQL이든 Docker..
지난 시간에는 Kubernetes를 이해하기 이전에 컨테이너 기술이 무엇인지?, kubernetes의 이해, GCP를 활용해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해 보았고,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설치하는 스크립트를 업로드했다. 이번 시간에서는 Kubernetes를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사용법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Overview kubernetes에서는 기본적으로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한다. 기본 명령어를 통해서 CLI에서 대부분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본 명령어에 대한 숙지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ubectl kubectl controls the Kubernetes cluster manager. Find more information at: https://kubernetes.io..
You byungjae fan homepages 본 프로젝트는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세상을 즐겁게 만들어 나가는 MCN 업계 대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 SANDBOX 소속인 유병재를 위한 프로필 페이지 제작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본 홈페이지는 소속사와는 관련이 없으며, 본인이 자발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하나 배포시 사용자에게 반드시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Getting Started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Dock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Docker 설치 방법은 공식 Documents를 확인하여 설치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Docker build install 소스를 빌드하여 사용하시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세요. $ git cl..

nGrinder는 네이버에서 서버 성능 측정을 목적으로 개발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실제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서비스의 부하 테스트를 위함으로, 실제 서비스 이전에 어느 정도의 부하를 견딜 수 있는지에 대한 목적을 두고 있다. nGrinder는 Controller와 Agent로 구분되어 있는데, Controller는 웹UI와 에이전트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Agent는 Controller부터 수신된 정보를 해당 서버에 가상 유저를 생성하여 부하를 발생시킨다. 물리 머신에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자바를 비롯한 각종 의존성 파일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Docker를 사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nGrinder Controller $ docker run -d -v ~/n..

개인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유병재 홈페이지를 Docker로 만들어서 올렸다. 지금까지는 로컬 머신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차후에는 Docker를 활용해서 개발을 지속해 나갈 생각이다. 개인의 재미로 시작했으나 조금이나마 나에게 도움이 되고, 실제 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인프라 운영자로서 나의 능력을 시험하고자 하는 성향도 강하기에 이번에 시작하는 프로젝트는 재밌기도 하고 떨리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이번 버전에서는 부트스트랩을 사용했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나 디자인 개선과 기능 추가 등이 있었고 개발 입장에서는 구글 애널리스틱 추가, kibana 연동하여 홈페이지 유입자 분석 및 서버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하였다. 인프라 개발자가 갑자기 홈페이지를 만드려고 하니 어려운게 사실이기는 하지만, 뭔가를 직접 만들어 보고..

GCP를 활용한 K8s Application GCP는 Google Cloud Flatform으로 아주 간단하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최초 가입 시 300달러 안에서 12개월 동안 무료로 제공되며, 일부 조건이 충족한다면 평생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랜도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테스트 및 개발 용도로는 충분히 사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NOTICE 본 문서는 GCP에 공식 Documents에 나오는 내용을 가지고 실습하는 내용이므로, 추가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링크를 클릭하여 내용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First K8s Application Deploy Google Cloud Flatform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2019년 현재 Docker는 빠질 수 없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되었다. 기존의 가상화 환경과 다르게 프로세스 격리 방식으로 동작하는 Docker의 경우 경량화는 물론 다른 Virtualizatin와 비교했을 때 빠른 Deploy가 가능하다는 여러 장점을 기존 시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번시간에서는 실제 본 연구실에서 진행했던 Docker Swarm으로 시작하는 오케스트레이션이라는 주제로 지필하고자 한다. 사실 오케스트레이션이라는 용어와 사용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있었다. 오케스트레이션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싶다면 본 블로그에 Docker Swarms 편을 살펴보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는 거의 업계 표준이나 다름없이 사용되는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는 구글에서 제작한 쿠버네티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