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warm (3)
Connecting
ELK Docker 설치 방법 ELK는 Elasticsearch, Kibana, Logstash 세 가지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약자로, 각 제품이 연동되어 데이터 수집 및 분석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필자가 다니고 있는 연구실에는 ELK를 활용하여 모든 서버의 로그기록과 서비스 메트릭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고 있다. Docker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복잡한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했겠지만 연구실에 Docker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정착된 상황에서는 90% 이상의 서비스들이 Docker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젝트 역시 Docker로 빌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ELK를 Docker Compose 파일을 통해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Kubernetes & Docker Part 1 쿠버네티스 기초 다지기 3/e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노력 1960년대부터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계속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가상머신이 있는데, Popek와 Goldberg가 "실제 컴퓨터의 효율적이고 고립된 복제물"로 정의되어 현재는 "실제 하드웨어와 직접적인 통신이 없는 가상 컴퓨터"를 가리킨다. 가상머신의 정의 시스템 가상 머신 하드웨어 가상 머신이라고 표현하며, 각 OS를 실행하는 가상 머신 사이의 기초가 되는 물리 PC를 다중화하는 기법을 뜻한다. 가상화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은 가상 머신 모니터 또는 하이퍼 바이저라고 하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여러 OS를 사용하는 환경은 완벽히 고립된..
2019년 현재 Docker는 빠질 수 없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되었다. 기존의 가상화 환경과 다르게 프로세스 격리 방식으로 동작하는 Docker의 경우 경량화는 물론 다른 Virtualizatin와 비교했을 때 빠른 Deploy가 가능하다는 여러 장점을 기존 시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번시간에서는 실제 본 연구실에서 진행했던 Docker Swarm으로 시작하는 오케스트레이션이라는 주제로 지필하고자 한다. 사실 오케스트레이션이라는 용어와 사용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있었다. 오케스트레이션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싶다면 본 블로그에 Docker Swarms 편을 살펴보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는 거의 업계 표준이나 다름없이 사용되는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는 구글에서 제작한 쿠버네티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